본문 바로가기

미술교육

(3)
특수아동을 위한 미술교육의 의의 1. 일반 아동의 미술교육 의의와 비슷한 의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 자기표현, 창의력, 행복감, 자신감 증진 2. 특수아동의 미술교육 의의 ◎치료적 역할 수행 ◎의사소통 기술 향상 ◎인지기술 향상 ◎운동기술 향상 ◎정서기술 향상 ◎조직화기술, 창의성 향상 ◎사회성기술 향상 ⇒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미술교육 의의를 비교할 때 장애아동의 미술교육 의의가 더 광범위하다. 3.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미술교육 미술치료 목적 미술 관련 기술 습득 창조성, 인성함양 자기인식, 자신감, 자존감 향상 정서적인 문제 해결 방법 미술을 진단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심리치료, 심리분석적 방법 활용 심리역동적 방법 활용 미술을 진단목적으로 사용 미술교육 활동 자체가 행동문제, 의사소통문제 등을 중재하는데 도움이 됨 숙련된..
청소년기의 미술 중 고등학교에서는 대개 청소년 미술과 관련해 세 가지 접근을 한다, 첫 번째 접근: 어린이의 가치 있는 속성을 보충하는데 관심을 둬 청소년인 자신을 잊고 어린이가 된 것처럼 참신하게 그릴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그 러나 이러한 동기부여는 어린 시절로 후퇴를 시켜 청소년에게 자신감을 심 어 주는 것이 아니라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 *비판력이 강한 성장기간에 도움이 되지 못하며 자연스러운 표현 형태에 대한 자신감을 저하시키게 됨. 두 번째 접근: 완전성을 강조하는 방법. 이때 교사는 전문가적인 기준에 접근하려고 노력한다, 이럴 경우 일반학교와 전문 미술학교와의 구별이 가지 않는다, 어른 기준에 집착하는 노력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신의 표현을 못하게 하며 미적 자질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리..
앨리엇 아이스너의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 앨리엇 아이스너의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 입니다 Elllot. W. Eisner 의 Educating Artistic Vision 아니스너는 1960년대부터 M. Barkan, E. B. Feldman, J. K, Mcfee, D. Ecker등과 함께 기존의 미술교육에 비판을 제기했다, 그의 주된 견해는 치젝의 "자유로운 자기 표현"을 통한 창의성 개발과 허버트 리드의 "미술을 통한 교육"이라는 관점에 의의를 제기하고 창의성 중심의 교육이 방임에 가까운 실기와 표현중심으로 흐르기 쉽고, 교사가 소극적일 수밖에 없으며, 미술교육에 대한 교육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그는 미술교육이 아동이나 사회의 요구나 필요에 의해 존재하는 학문이라기보다는 미술의 본질적이고 독자적인 특성에 의해 미술교육이 성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