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술정보

(14)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동계학술대회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동계학술대회
2017년 한국술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안내
한국표현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분노로 가득 찬 청소년과의 소통: 예술을 통한 공감과 조율 > 2017년 한국표현예술심리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분노로 가득 찬 청소년과의 소통: 예술을 통한 공감과 조율 1. 일시: 2017년 11월 19일[일] 13:00-17:30 2. 장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 명지대학교 방목학술정보관 1층 국제회의장 3. 대상: 한국표현예술심리치료학회 회원 및 예술치료에 관심 있는 일반인, 관련분야 종사자 4. 주제: 분노로 가득 찬 청소년과의 소통: 예술을 통한 공감과 조율
한국정신보건미술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미술치료파티> 한국정신보건미술치료학회 추계학술대회 * 주제-미술치료 파티 * 일시-2017년 11월 11일 토요일 13:00~17:00 * 장소-수원광교노인복지관 B1 광교홀 * dress code-black & white * 등록비-식사수량을 미리 준비해야 하는 관계로 사전등록만 가능, 회원 4만원, 비회원 5만원(대학원 재학생도 할인 없이 동일적용) * 계좌번호-국민은행/학회명/54980201-423471 일 정 13:00~13:10 개회사 13:10~15:00 미술치료 워크샵-“파티를 위하여” 유미 선생님(미술치료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학과 겸임교수, 아트포미미술치료교육연구소 소장, 더리미 미술관 관장) 15:00~16:00 간단한 식사 16:00~16:50예술과 인문학-“kalepa ta kala..
은평병원 국제학술대회안내 ​​미술치료사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것 같아 학술대회를 올립니다. 미술치료관련학회만 다니기 보단 다양한 주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것도 좋은 기회일것 같네요! 무엇보다 미술치료영역은 터무니 없이 비싼 가격의 학술대회도 많습니다. 물론 모든 기관들이 이유가 있겠죠? 미술치료영역도 이런 젛은강사님들의 유익하고 질좋은 강의를 들을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으면합니다. 은평병원 국제학술대회 (정신장애인 인권과 환경) 2014년 12월19일(금)13:30-15:00 장소: 서울시청 후생동강당(4F) ​​​​​​​ ​ ​ ​ ​
상담장면에서의 약물치료 특강 12월17일(수) 본 센터에서는 상담현장에서 만나는 내담아동의 치료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약물치료에 대한 강좌를 진행합니다. 현장에서 아동청소년 또는 성인상담을 하면서 때로는 병원에 의뢰해야할지, 상담을 해야할지 고민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특히 청소년기의 환청, 환각 등의 증상이나 아동기의 틱증상, ADHD 등의 치료를 위해 부모를 설득하여 병원에 의뢰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정신과 약물의 기제와 함께 아동청소년의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ADHD 등 약물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장애부터 우울증, 불안증 등의 신경증적 장애까지 자주 대하는 장애 위주로 약물치료에 대한 강의를 진행합니다. 강의후에는 질의응답 시간도 충분히 진행합니다. 관심있는 선생님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일시 : 2014년 12월..
제 9회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학술대회 2014년 11월 8일(토) 제 9회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학술대회 게슈탈트 치료의 현장 -아동청소년 & 위기개입을 위한 게슈탈트 치료의 적용- 2014년 11월 8일 (토) 9:00~17:30 / 성신여대 미아운정그린캠퍼스 중강당 초대의 말씀 안녕하십니까?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에서 2014년 가을을 맞아 제 9회 학술대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본 학회의 창립 4주년을 맞이하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게슈탈트 치료의 현장’을 주제로 정하여 게슈탈트 치료가 한국 상담의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특히 아동과 청소년 상담분야와 재난위기개입의 현장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학술대회 오전에는 국내의 중진 게슈탈트상담심리전문가들을 모시고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 의 실제에 관해 강연을 듣고 토론하는 자리를..
한국정신병심리치료학회 제 2차 학술세미나 2014년 11월 8일(토) 한국정신병심리치료학회 2014년 제 2차 학술세미나 ▶ 날짜 : 2014년 11월 8일(토) 오후 2:00 - 6:00 ▶ 장소 : 여의도 이룸센터 누리홀 ▶ 주제 : 공감과 조현병 초대의 글 안녕하십니까? 최근 여러 분야에서 공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정신치료에서 공감은 치료인자로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너무 어렵고 멀게만 느껴지는 잡히지 않은 어떤 것으로 다가옵니다. 개념으로서의 공감이 아니라 실제 공감이 무엇이고 어떻게 하는 것이 공감인지 파악 가능하도록 공감을 조명해 봄으로써 치료자의 치료능력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공감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되는 길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치료자와 가족이 정신병을 가지고 있는 환우들을 제대로 공감하는 것이 환우들이 스스로 병을 이겨내는데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