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68)
성역할의 개념 성역할의 개념 성차이(sex differences)는 행동, 성격, 능력등을 포함한 여러 심리학적 분야에서 여성과 남성이 현상적으로 보이는 차이를 말한다. 이 성차이는 생물학적 성별과 관련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로 인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sex) 또는 성별(gender)은 염색체와 생식기관과 호르몬에 의해서 결정되며, 태어날 때부터 남녀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에 따라 어린이는 자라나면서 점차로 자신이 남자 또는 여자라는 성별 정체감(gender identity)을 가지게 되는데, 심리학자들은 자신의 성별이 남자 또는 여자라 는 것을 똑바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 성인으로서의 정신건강에 필수적이라는 데에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한 어린이가 신체적으로 남자 또는 여자라는 것 분별하는 순간부터 ..
셀리에의 일반적응증후군 - 경보반응(Alarm reaction) : 심장박동이 증가하면, 혈액은 다른 신체기능에서 반응이 필요한 근육으로 전환한다. 유기체는 교감신경계(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의 활동을 통해 그것자체로 도전에 충족하기 위해 준비한다. - 저항(Resistance) : 신체는 생물학적 준비를 유지한다. (높은 심장박동 등) 호르몬은 이런 준비태세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놓아둔다. 만약 저항상태가 너무 오래 지속된다면 신체는 이런 자원들이 고갈될 것이다. - 소진(Exhaustion) : 부교감신경계(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는 우리의 생리학적 상태를 정상으로 되돌려놓는다. 우리는 특히 만약 우리의 자원이 확장된 저항상태에 의해 고갈되었다면 더욱 ..
강인한 정신력도 자식에게 '유전' 된다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에서 220쌍의 쌍둥이를 대상으로 유전이나 환경이 '강인한 정신력' 을 만드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습니다. 연구결과 환경보다는 유전이 52%로 더 많은 역할을 한다고 연구팀은 발표했습니다.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504119
TV 보고 흉내내는 아이… 좋은 버릇 들여주기 TV 개그 프로그램에 나오는 유행어나 섹시한 춤을 추는 가수들을 흉내내는 모습은 이제 더 이상 어른들 사이에서만의 풍경이 아니다. 연예인들의 행동이나 말투, 표정을 그대로 모방하는 아이들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개그프로그램에 나오는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언행을 따라 하는 아이, 어른들이 보고 웃고 울고 하는 드라마의 줄거리를 줄줄 외고 다니는 아이, 섹시한 여가수의 표정과 몸짓을 그대로 흉내내는 아이 등 요즘 TV 속 모습들을 아이들에게서 쉽게 볼 수 있다. 모방을 통해서 학습하는 습성을 가진 아이들에겐 당연한 일이지만 지나치게 저속하고 선정적인 표현이 아이들에게 여과 없이 전달되는 것이 문제다. 아이들은 점차 그러한 행동을 반복하게 되고 정서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될 수밖에 없다...
소리지르는 아이 대처법 만 2세 전후의 아이들은 자아가 성립되면서 자신의 의사를 확실하게 표현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막무가내로 소리를 지른다거나 떼를 쓴다면 이때는 부모의 단호한 태도가 필요하다. ● 애독자 SOS “마음에 안 드는 게 있으면 무조건 소리부터 질러요” 시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어요. 첫 손자라 오냐오냐 키워서 그런지 마음에 드는 것은 혼자 독차지하려고 하고 마음에 안 들면 무조건 떼부터 쓴답니다. 자기가 원하는 것을 이룰 때까지 울고불고 소리만 질러요. 심할 때는 발을 동동 구르며 머리도 좌우로 흔드는데 어떤 땐 더럭 겁이 나기도 해요. 시부모님은 아이 성격 나빠진다며 웬만하면 무조건 들어주라 하시는데, 어떻게 고쳐줄지 고민이랍니다. 지호 엄마 이** (3세·27세,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 선배 맘 Advic..
어린이집 보낼까? 유치원 보낼까? 전업주부 엄마에게 어린이집이 선택이라면 워킹맘에게는 필수다. 만 3세부터 어린이집은 물론 유치원도 다닐 수 있는 요즘, 워킹맘은 어디를 선택해야 할까? ※ 워킹맘의 선택은? ● 어린이집에 보냈다 선생님이 세심하게 돌봐준다 친정엄마가 함께 살면서 아이를 돌봐주시기 때문에 5살에나 유치원에 보낼 예정이었다. 하지만 아이에게 시달려서인지 건강이 예전 같지 않은 친정엄마를 위해 보육기관에 일찍 보내게 됐다. 아직은 학습보다는 엄마의 보살핌이 필요한 나이라서 유치원보다는 어린이집이 적합하다고 판단해 6개월 대기한 끝에 입학시킬 수 있었다. 지원이네 반에는 28명의 또래 아이들이 있는데, 담당 교사 2명과 보조 교사 1명이 세심하게 돌봐주는 것 같아 안심이다. 지원(3세) 엄마 김민희 씨 직장 다니는 엄마의 편의를..
정신지체학생 성교육(신체구조에 대한 이해) 나는 누구인가 - 정신지체학생 성교육(신체구조에 대한 이해) 1. 들어가는 말 "눈은 어디 있나?" "여기!" "코는? 입은?" 학생들과 나는 마주 보고서서 자신들의 신체를 손끝으로 탐색해 간다. 정신지체장애학생들의 성교육 첫 시간을 마친 후 이들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어떻게 해야할지 무척이나 막막해 했던 기억이 난다. 장애학생 방과후 교실을 다니는 10명쯤의 학생들은 남자가 7명, 여자가 3명으로 연령은 8세에서 13세까지 구성되어 있었다.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씩 20분 동안 실시된다. 대부분 정신지체이고 정서장애 그리고 다운증후군이 각각 한 명씩 있었는데 그들 중 자신의 성별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학생은 단 2명뿐이었다. 몇 주 동안은 이들과 친해지는 것이 우선이었다. 그들은 대단히 부산스러웠고 수업..
The importance of play 놀이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play 놀이의 중요성 ============================================================== - 놀이는 아동의 주요한 발달 영역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을 준다. - 놀이기술은 다섯 가지 단계로 발달한다. - 교실환경의 배치, 놀이도구의 유형, 놀이시간은 아동의 놀이에 영향을 준다. - 블럭놀이, 역할놀이, 감각놀이, 미술활동, 정적인 활동, 음악활동은 교실의 주요한 놀이 영역이다. - 아동에게 학교에서 가정에서 많은 시간의 어른과 또래들과의 놀이가 필요하다. - 발달지체의 아동은 놀이활동과 놀이 환경에 있어서 특별한 수정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