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분석

(2)
정신분석적 가족치료 1)개관:프로이드는 가족관계에 대한 관심을 가졌으나 그것은 단지 지나간 과거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이다. 신경공포증이 나타난 현재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신경공포증을 학습했던 과거 상황에 초점을 두었던 것이다. 프로이드는 내담자의 정신적 구조를 변화시키면 타인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을 포함한 여러 가지 행동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그 결과 타인들에 대한 내담다의 행동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2)주요개념 (1) 인간관: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서는 인간은 비합리적이고 결정론적인 존재로 보고 인간 행동이란 기본적인 생물학적 충동과 본능을 만족시키려고 하는 욕망에 의하여 동기화되는 것으로 본다. 고전적 정신분석이론에 의하면 인간행동의 기본은 무의식적 동기와 생물학적 욕구 및 충동 그리고 유년기의 생..
이마고 커플관계치료와 내면아이치료 모델 배우자 각자의 ‘어린시절의 상처’ 치료의 중요성: 이마고 커플관계치료와 내면아이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오제은 교수 (백석대 상담학과) 이 글의 목적은 커플관계치료에 있어서 배우자 각자의 어린시절의 상처의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서 살펴보는 데 있다. 즉, 배우자 각자가 어린시절의 각 발달단계를 어떻게 경험하였는지가 커플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어린시절의 상처의 치료에 주목하여 '이마고 커플관계치료'와 '내면아이 치료'의 두 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커플/ 부부치료 모델 중에서도 특별히 하빌 헨드릭스(Henrix, 1988, 1992)에 의해서 개발되어진 ‘이마고 커플관계치료(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는 배우자의 어린시절의 상처를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