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병리

(2)
'도벽' 의 개념 및 통계 자료 개념 진단적으로는 DSM-IV내에서 품행 장애 진단 기준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병적도벽(Kleptomania)진단된다. 병적 도벽의 경우 어떤 생각 없이 이루어지는 충동장애의 일종으로 훔치고 싶다는 충동 표현이 해받으면 불안이 증가하고 도둑질을 끝낸 후에는 긴장감이 해소되는 충동장애의 일종이다. 보통 가게에서 물건을 훔치는 것과 병적 도벽이 혼돈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는 가게에서 물건 훔치는 것의 5%만이 병적 도벽에 해당한다. 그러나, 일반적 의미의 도벽은 '훔치는행동'으로서 남의 물건을 훔치는 습관화된 버릇,주인의 눈을 피해서 하는 나쁜 일 중에서 남의 것을 가지는 일을 의미한다. 학교 현장의 교실에서는 가끔 학생들의 물건이나 금품이 없어지는 일이 있어서 교사가 당황하는 이있다. 도벽은 곧 남의 물건..
이상심리학 역사 오늘날 이상심리라고 하면 정신병처럼 심한 심리적 장애에서부터 신경증, 성격장애 그리고 일시적인 적응장애를 포함하는 넓은 분야의 인간의 정서, 인지, 행동의 장애를 가리킨다. 그러나 이상심리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정신병을 위주로 한 역사를 말하게 된다. 즉 역사적으로 정신병을 어떻게 개념화했고 어떻게 처리했는지를 기술하는 것이다. ① 고대사회: 초자연적인 이해 고대 원시사회에서는 동서양의 구분 없이 정신병을 초자연적 현상으로 이해하였다. 즉 신의 특별한 계사를 받았다거나 저주를 받았다고 여기거나 귀신이 들렸다고 여겼다. 이러한 이해에 따라서 정신이상이나 이상행동을 고치는 방법도 초자연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귀신을 달래는 굿을 한다거나 귀신을 쫓는 의례를 시행하였다. 마시대 그리스 로마시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