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폐증은 왜 생기는가? 1) 심인론과 정신분석학적 접근 Kanner(1943); 자폐장애가 부모의 양육태 의해 기인된다. Bettelheim(1967); 부모의 지나친 이성적인 양육태도가 자폐증상을 야기시킨다. 심인론에 기인한 치료; 치료에 있어서 허용적인 환경제공이 중요하다. 지지적 환경속에 있을때 신뢰와 자율성이 발달되고 자폐적 방어가 중어든다. 아동의 공격적, 파괴적 행동도 애정과 관심으로 완전히 수용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자폐아동과 정상아동의 부모의 성격적 차이가 검증되지 않음. 2) 뇌의 구조적,기능적 접근 Rimland(1964); 남아에게 많으며 같은 부모에게서 정상,자폐로 구분된다. 중추신경계통의 이상이 아동의 정상발달을 방해한다는 발달상의 문제로 보는 기질적 원인론. Ornitz & Ritvo(1968); 신.. 자폐성향이 있는 아이, 반드시 '함께' 놀아주세요 ■자폐성향이 있는 아이, 반드시 '함께' 놀아주세요 자폐 성향이 있는 아이들은 사회적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는 등 전반적으로 사회기술이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아이들에겐 역할놀이를 할 수 있는 병원놀이, 상점놀이, 소꿉놀이 등을 선물하자. 선물한 후도 중요하다. 반드시 아이들이 다른 사람과 '함께' 역할놀이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하지만 장난감만 제공하는 것은 오히려 아이의 자폐적 성향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부모나 또래와 함께 '놀도록' 배려하는 게 중요하다. ※이런 선물이 좋아요! ●토마스와 친구들 병원놀이 (2만2500원) ●콩순이 계산대 (5만원) 한시도 자리에 앉아 있지 못하는 우리 아이에겐 어떤 선물을 해야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될까? 아직까지도 말이 서툰 조카에겐 어떤 선.. 자폐증 (1) 역학 : 10,000명의 아동 중 2-4명(Lotter, 1966; Gillberg, 1990), 남녀비율은 3-5:1(Zahner & Paul, 1987) (2) 원인(홍강의, 1993): ∙가족 및 환경적 요소: 부모의 정신병리나 환경적인 요소들은 자폐증의 원인으로 가능성이 매우 낮다. ∙유전적 요소: 매우 높다 ∙뇌기능상의 문제 (3) 임상적 특성(안동현, 1999) 발병시기는 3세 이전 ① 상호교류적인 사회관계형성의 장애 가.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있는 것에 대해 개의치 않는다 나. 아프거나 다치는 경우와 같이 어려울때도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다 다. 따라하지 않는다 라. 사회적인 놀이를 하지 않는다 마. 또래와 어울리지 않는다 ② 의사소통의 장애 가. 말을 하지 않는다 나. 눈맞춤과 같은 .. 자폐증 자폐증 (1) 역학 : 10,000명의 아동 중 2-4명(Lotter, 1966; Gillberg, 1990), 남녀 비율은 ....3-5:1(Zahner & Paul, 1987) (2) 원인(홍강의, 1993): - 가족 및 환경적 요소: 부모의 정신병리나 환경적인 요소들은 자폐증의 원인으로 ...가능성이 매우 낮다. - 유전적 요소: 매우 높다 - 뇌기능상의 문제 (3) 임상적 특성(안동현, 1999) 발병시기는 3세 이전 ① 상호교류적인 사회관계형성의 장애 가.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있는 것에 대해 개의치 않는다 나. 아프거나 다치는 경우와 같이 어려울때도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다 다. 따라하지 않는다 라. 사회적인 놀이를 하지 않는다 마. 또래와 어울리지 않는다 ② 의사소통의 장애 가. 말을 하지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