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기

(12)
오늘의 아동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가 ? 오늘의 아동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가 ? 1. 국민학교 6학년 여학생 100명이 말하는 '엄마에겐 감추고 싶은 나만의 비밀' *. 내 남자친구(38. 6%) 이유는 1)다른 사람이 나의 남자 친구를 아는게 싫 어서 2)부끄럽다. 3)엄마가 남자친구 사귀면 혼날 줄 알라고 하셨기 때문에 4)어린아이가 공부는 하지 않고 남자는 무슨 남자냐고 꾸중들을 것 같아서 *. 좋지 않은 시험 성적(12. 9%) 1)엄마한테 혼날 것 같아서 2)엄마가 다른 아줌마들에게 창피당할 것 같아서 *. 학원 빼먹고 친구들과 놀았던 일(11. 9%) *. 신체의 변화(5%) 1)엄마가 나의 신체를 아는 것이 부끄러워서 2)그냥 말 하기가 어렵다. *. 선생님께 혼났던 일(4%) 엄마가 이 사실을 알면 실망하실 것 같아서 *. 엄..
아동기 주요 정신장애(DSM-IV) 아동기 주요 정신장애(DSM-IV) 발달장애 정신지체 (Mental Rerardation) 가벼운정도(mild): 50-55, 70 중간정도(Moderate): 35-40, 50-55 심한정도(Severe): 20-25, 35-40 아주심한정도(Profound): 20-25 이하 Unspecified 전반적 발달장애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자폐증(Autistic Disorder) 레트장애(Rett's Disorder) 소아기붕괴성장애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아스퍼거장애(Asperger's Disorder) PDD, NOS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 읽기장애 산술장애 쓰기장애 LD, NOS 운동기술장애 (Mo..
자폐증 자폐증 (1) 역학 : 10,000명의 아동 중 2-4명(Lotter, 1966; Gillberg, 1990), 남녀 비율은 ....3-5:1(Zahner & Paul, 1987) (2) 원인(홍강의, 1993): - 가족 및 환경적 요소: 부모의 정신병리나 환경적인 요소들은 자폐증의 원인으로 ...가능성이 매우 낮다. - 유전적 요소: 매우 높다 - 뇌기능상의 문제 (3) 임상적 특성(안동현, 1999) 발병시기는 3세 이전 ① 상호교류적인 사회관계형성의 장애 가.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있는 것에 대해 개의치 않는다 나. 아프거나 다치는 경우와 같이 어려울때도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다 다. 따라하지 않는다 라. 사회적인 놀이를 하지 않는다 마. 또래와 어울리지 않는다 ② 의사소통의 장애 가. 말을 하지 ..
우리는 소망해온 아이를 원한다 우리는 소망해온 아이를 원한다 -“영국에서 3,000개의 냉동 배아가 폐기되다.” “이탈리아의 생식의학자가 60세의 여성에게 아이를 갖도록 도와주다”, “미국 여성이 자신의 손녀와 함께 임신하다”... 처음에는 맹렬한 토론의 대상이 되었던 생식의학의 새로운 방법들이 그 동안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다. -의학기술 분야의 급속한 발전의 동시대이자 증인으로서 우리는 부모의 신분을 둘러싼 입장과 희망과 소망이 얼마나 근본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지는 곧바로 확실히 체험할 수 있다. 인체유전학자인 얀 무르켄(Jan Murken)은 이렇게 표현한다. “이제 산전 진단법을 세상에서 몰아낼 수 는 없다. 그러나 출산을 무리하게 요구할 수 없게 하는 사는 사실상 누구나 수긍하게 되는 위협적인 질병부터, 현실적으로 늘 있어왔던 ..
'올빼미' 아이 수면 습관 바로잡기 최근 일본에서 늦게 자는 아이들이 저체온 증상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아이의 건강과 성장에 숙면이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지는 미처 깨닫지 못하는 부모들이 많다. 최소한 ‘9시 취침’을 금쪽같이 지켜야 하는 이유와 이를 위한 실천 방법들. WHY _왜 '9시'에는 잠을 자야 할까? ● 늦은 취침은 성장을 방해한다 아이의 잠은 성장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드는 습관을 가지면 생체리듬에 맞춰 뇌하수체에서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지기 때문. 성장호르몬의 ⅔는 밤 사이에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다시 다른 내분비선을 자극하는 촉진 성분을 관리하는 등 아이의 성장과 신체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요한 것은 ..
칭찬과 격려 칭찬과 격려, 어떻게 다른가요? 어느 부모든지 자기자녀를 훌륭하게 잘 기르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이런 마음을 갖고 있어도 실제로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 자녀를 위한 말이고 행동인지 혼란스러운 때가 아주 많을 것입니다. 자녀들에게 칭찬을 많이 하는 어머니는 스스로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나는 애들한테 소리 지르고 야단치는 엄마들과는 달라. 나는 아이들 위주로 살 뿐만 아니라 얼마나 민주적인데. 아마 이렇게 칭찬을 많이 해서 기르면 다른 어느 집 애들보다 훌륭하게 자랄 거야.” 그러나 이렇게 매일 칭찬을 한다고 해서 어머니들 생각대로 성장하는 것만은 아닙니다.만일 자녀들이 자율적이고 책임감 있는 아이로 성장하기를 원한다면 칭찬과는 비슷한 점이 많지만 또 많이 다른 격려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
학령기 아동의 건강한 성 학령기 아동의 건강한 성 건강하고 화목한 가정 무엇보다 중요 … 자위행위 발견시 자연스럽게 넘어가야 이 시기의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중학생이 되는 시기이다. 그전까지는 학령기 전 시기로 성에 대한 발달은 외부 성기에 의해 자신이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분하는 정도로 발달한다. 또한 아이들은 소위 오디프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시기를 거치면서 자신의 성에 대한 역할을 배운다. 즉 아빠(엄마) 때문에 엄마(아빠)를 차지할 수 없지만 아빠(엄마)와 비슷한 성격의 남자(여자)가 돼 엄마(아빠)를 닮은 여자(남자)를 만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며, 아빠(엄마)를 동일시(identification)하면서 학령기전 시기를 마감하게 되므로 아이들의 성에 대한 관심은 줄어든다. 이후 아이들이 점점 성..
'올빼미' 아이 수면 습관 바로잡기 최근 일본에서 늦게 자는 아이들이 저체온 증상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아이의 건강과 성장에 숙면이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지는 미처 깨닫지 못하는 부모들이 많다. 최소한 ‘9시 취침’을 금쪽같이 지켜야 하는 이유와 이를 위한 실천 방법들. WHY _왜 '9시'에는 잠을 자야 할까? ● 늦은 취침은 성장을 방해한다 아이의 잠은 성장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드는 습관을 가지면 생체리듬에 맞춰 뇌하수체에서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지기 때문. 성장호르몬의 ⅔는 밤 사이에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다시 다른 내분비선을 자극하는 촉진 성분을 관리하는 등 아이의 성장과 신체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요한 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