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

(7)
특수아동 부모교육의 개념 특수아동 부모교육의 개념 부모교육이란 부모참여를 위한 방략으로써 부모의 역할 기능을 발달시키는 방법이다. 그리고 부모참여란 교육프로그램의 계획과 실천, 평가, 수정 등 모든 주요 단계에 부모가 참여하는 것으로 부모의 결정과 권한이 강조되는 것을 말한다. 부모교육은 장애아동 부모가 절망과 죄의식과 과잉보호의 악순환을 거쳐 딜레마에 빠지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육아방법을 형성하기 전에 전문가가 장애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지도방법을 교육하며, 가정에서의 장애아동 조기 치료 교육을 위해 협력하고 정신적 위안과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청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2. 부모참여의 필요성 장애아의 경우에는 학교나 부모에게 그들 자녀의 교육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더 많이 주어지고, 교사로서 또는 교육 결정자로서의..
오늘의 아동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가 ? 오늘의 아동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가 ? 1. 국민학교 6학년 여학생 100명이 말하는 '엄마에겐 감추고 싶은 나만의 비밀' *. 내 남자친구(38. 6%) 이유는 1)다른 사람이 나의 남자 친구를 아는게 싫 어서 2)부끄럽다. 3)엄마가 남자친구 사귀면 혼날 줄 알라고 하셨기 때문에 4)어린아이가 공부는 하지 않고 남자는 무슨 남자냐고 꾸중들을 것 같아서 *. 좋지 않은 시험 성적(12. 9%) 1)엄마한테 혼날 것 같아서 2)엄마가 다른 아줌마들에게 창피당할 것 같아서 *. 학원 빼먹고 친구들과 놀았던 일(11. 9%) *. 신체의 변화(5%) 1)엄마가 나의 신체를 아는 것이 부끄러워서 2)그냥 말 하기가 어렵다. *. 선생님께 혼났던 일(4%) 엄마가 이 사실을 알면 실망하실 것 같아서 *. 엄..
'올빼미' 아이 수면 습관 바로잡기 최근 일본에서 늦게 자는 아이들이 저체온 증상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아이의 건강과 성장에 숙면이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지는 미처 깨닫지 못하는 부모들이 많다. 최소한 ‘9시 취침’을 금쪽같이 지켜야 하는 이유와 이를 위한 실천 방법들. WHY _왜 '9시'에는 잠을 자야 할까? ● 늦은 취침은 성장을 방해한다 아이의 잠은 성장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드는 습관을 가지면 생체리듬에 맞춰 뇌하수체에서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지기 때문. 성장호르몬의 ⅔는 밤 사이에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다시 다른 내분비선을 자극하는 촉진 성분을 관리하는 등 아이의 성장과 신체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요한 것은 ..
칭찬과 격려 칭찬과 격려, 어떻게 다른가요? 어느 부모든지 자기자녀를 훌륭하게 잘 기르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이런 마음을 갖고 있어도 실제로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 자녀를 위한 말이고 행동인지 혼란스러운 때가 아주 많을 것입니다. 자녀들에게 칭찬을 많이 하는 어머니는 스스로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나는 애들한테 소리 지르고 야단치는 엄마들과는 달라. 나는 아이들 위주로 살 뿐만 아니라 얼마나 민주적인데. 아마 이렇게 칭찬을 많이 해서 기르면 다른 어느 집 애들보다 훌륭하게 자랄 거야.” 그러나 이렇게 매일 칭찬을 한다고 해서 어머니들 생각대로 성장하는 것만은 아닙니다.만일 자녀들이 자율적이고 책임감 있는 아이로 성장하기를 원한다면 칭찬과는 비슷한 점이 많지만 또 많이 다른 격려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
학령기 아동의 건강한 성 학령기 아동의 건강한 성 건강하고 화목한 가정 무엇보다 중요 … 자위행위 발견시 자연스럽게 넘어가야 이 시기의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중학생이 되는 시기이다. 그전까지는 학령기 전 시기로 성에 대한 발달은 외부 성기에 의해 자신이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분하는 정도로 발달한다. 또한 아이들은 소위 오디프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시기를 거치면서 자신의 성에 대한 역할을 배운다. 즉 아빠(엄마) 때문에 엄마(아빠)를 차지할 수 없지만 아빠(엄마)와 비슷한 성격의 남자(여자)가 돼 엄마(아빠)를 닮은 여자(남자)를 만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며, 아빠(엄마)를 동일시(identification)하면서 학령기전 시기를 마감하게 되므로 아이들의 성에 대한 관심은 줄어든다. 이후 아이들이 점점 성..
'올빼미' 아이 수면 습관 바로잡기 최근 일본에서 늦게 자는 아이들이 저체온 증상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아이의 건강과 성장에 숙면이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지는 미처 깨닫지 못하는 부모들이 많다. 최소한 ‘9시 취침’을 금쪽같이 지켜야 하는 이유와 이를 위한 실천 방법들. WHY _왜 '9시'에는 잠을 자야 할까? ● 늦은 취침은 성장을 방해한다 아이의 잠은 성장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드는 습관을 가지면 생체리듬에 맞춰 뇌하수체에서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지기 때문. 성장호르몬의 ⅔는 밤 사이에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다시 다른 내분비선을 자극하는 촉진 성분을 관리하는 등 아이의 성장과 신체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요한 것은 ..
TV 보고 흉내내는 아이… 좋은 버릇 들여주기 TV 개그 프로그램에 나오는 유행어나 섹시한 춤을 추는 가수들을 흉내내는 모습은 이제 더 이상 어른들 사이에서만의 풍경이 아니다. 연예인들의 행동이나 말투, 표정을 그대로 모방하는 아이들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개그프로그램에 나오는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언행을 따라 하는 아이, 어른들이 보고 웃고 울고 하는 드라마의 줄거리를 줄줄 외고 다니는 아이, 섹시한 여가수의 표정과 몸짓을 그대로 흉내내는 아이 등 요즘 TV 속 모습들을 아이들에게서 쉽게 볼 수 있다. 모방을 통해서 학습하는 습성을 가진 아이들에겐 당연한 일이지만 지나치게 저속하고 선정적인 표현이 아이들에게 여과 없이 전달되는 것이 문제다. 아이들은 점차 그러한 행동을 반복하게 되고 정서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