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느린발걸음

(3)
미술치료의 이해와 실제 미술치료의 이해와 실제 정 길 수(대덕구 정신보건센타) Ⅰ. 들어가는 말 국내에서의 예술치료분야는 1960년대부터 정신건강분야에 종사하면서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예술치료를 이차적인 치료방법으로 사용하거나 주로 자원봉사자들에 의하여 이루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1982년 창설된 한국임상예술학회에서는 예술분야를 총망라하여 그 정의를 “그림, 조형, 공예, 음악, 무용, 사이코 드라마, 인형극, 시, 독서 및 기타 여러 가지 창조적 행위와 표현활동을 통한 예술요법의 각 분야를 위시하여 예술표현정신병리학 및 병적학의 분야 등 많은 종류와 여러 차원에 걸친 각종 활동을 포함한다”고 밝히고 있다. 예술치료중에서 무용치료, 음악치료, 연극치료 등과 더불어 미술치료도 새로운 치료기법의 하나로 대두되어 최근 우리나라에서..
작품보기와 이해하기 1. 작업 후 돌아보기 • 치료적 가치 : 환자의 연령과 작업의 내용에 따라 반영이 간단한 것일 수도 있고 광범위한 것일 수도 있으나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 반영의 경험 : 일반 미술활동과 달리 창작을 통해 어떤 반영의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 • 조정 능력 : 새로운 기술과 감수성에 관한 학습이 필요. 내담자의 수준에 맞추는 조정을 해야 한다. • 적당한 언어 찾기 : 환자가 편안하면서도 적절한 방법을 찾고 예술경험을 의미있게 반영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열정과 낙관적인 마음을 유지하는 것. 다양한 언어적 수단뿐만 아니라 다른 표현양식까지도 시도 노력 (예: 다른 시도 실패 시 미술작품을 극화 하는 것) 2. 활동 방식 • 유창하고 자유롭게 연상하는 환자의 경우에 최소한의 질문과 개방식..
성공적인 현장경험에 필요한 능력 많은 치료사들이 다양한 기관에서 교육을 통해 현장에서 인턴과정을 거치며 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다. 상담교육에서는 대부분 늘 당신이 '더 많이 깨닫고 암기는 덜 하도록' 도울 방법을 찾고 현장에 나갈수 있도록 돕는것이 일반적이다. 더 많이 깨닫고 암기는 덜 하도록 교육을 받고 현장경험을 시작하지만 그러기에 앞서 우리는 주요능력에 대해 다시한번 숙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번째가 불안과 두려움을 평가하고 용감하게 이전 방식을 바꾸어 새로운 행동을 촉진하는것 이것을 다른말로 하면 "모험하기" 이다. 심은데로 거둔다는 말이 있듯이 실습과 인턴 과정은 상담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도전적이며 노력을 요하는 과정이라고 할수 있다. 칼융은 사람이 두려워해 본 적이 없다면 용감해질수 없다고 이야기 했듯이 상담을 시작하며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