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가족치료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인물 1. 배경 가족치료에 대한 경험적 접근은 정신 분석이 퇴조하기 시작하고 유럽의 실존 주의 사조가 들어오고 게슈탈트 치료가 인정받기 시작했던 1960년대 개인심리의 실존적/인본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실존 주의자들은 정신 분석의 결정론 대신에 개별적 가치와 개인적 목표와 같은 개별성의 본질을 강조하였다. 또한 경험 집단, 감수성 훈련과 인간잠재력의 성취를 강조 하며 초점을 ‘여기-지금’ 경험하는 것에 두었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현상학의 영향도 많이 받았는데, 이는 사실 자체보다는 개인의 주관적 체험을 더 중시하는 관점을 말한다. 엄밀히 말해 시간이란 주관적으로 체험되는 의식의 흐름이기 때문에, ‘지금- 여기’만이 실존적인 시간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경험적 가족 치료는 치료 기법에 있어서도 게슈탈트와 참.. 경험적 가족치료이론 1) 개관:경험적 가족치료이론은 1960년대 인본주의적 심리학에서 출발하였고 개인과 가족의 정서적 경험을 중요시한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과거 경험보다는 지금-현재 여기에서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치료자와 가족 사이에 상황에서 경험을 중시한다.satir는 정직하고 직접적이며 명확하게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발전시켰고 가족구성원들이 자존감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융통성 있고 합리적인 가족규칙을 갖게 하는 지침을 만들었다. 경험을 통한 성장에 초점을 두고 게슈탈트기법, 역할극, 의사소통훈련등을 활용한 훈련기법 등을 치료과정에 활용하였으며 가족조각, 은유법, 접촉등의 기법을 활용하였다. 2) 주요 개념 (1)인간관:경험주의 가족치료에서의 인간은 악한 존재가 아니라 선한 존재이며 누구나 성취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적응할..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