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치료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족놀이치료의 과정 가족놀이치료의 과정 가족놀이치료의 과정은 비교적 단기(8~12회)로 구조화되고, 가족원들 간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초기단계를 중요시한다. 단기간의 회기 후, 필요하면 연장된 치료회기를 계획하고 목표를 수정하여 전체적으로 긴 치료 과정이 될 수도 있다. 단기 접근은 제한된 목표들을 세움으로써 부모들의 실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부모들은 향상된 점을 볼 수 있고 성공의 경험을 하기가 쉬워진다. 한 회기는 1시간 정도로, 그 중 30분 정도는 놀이 활동을 한다. 놀이회기의 초반에 부모들은 불편감, 경직성, 놀이 방법에 대한 지식부족을 보이고, 알 만한 활동들에서도 어찌 할지 몰라 하곤 한다. 때문에 치료자는 가족들의 불안을 덜어 주기위해 처음에는 약간의 지도를 해 준다. 첫 회.. 경험적 가족치료이론 1) 개관:경험적 가족치료이론은 1960년대 인본주의적 심리학에서 출발하였고 개인과 가족의 정서적 경험을 중요시한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과거 경험보다는 지금-현재 여기에서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치료자와 가족 사이에 상황에서 경험을 중시한다.satir는 정직하고 직접적이며 명확하게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발전시켰고 가족구성원들이 자존감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융통성 있고 합리적인 가족규칙을 갖게 하는 지침을 만들었다. 경험을 통한 성장에 초점을 두고 게슈탈트기법, 역할극, 의사소통훈련등을 활용한 훈련기법 등을 치료과정에 활용하였으며 가족조각, 은유법, 접촉등의 기법을 활용하였다. 2) 주요 개념 (1)인간관:경험주의 가족치료에서의 인간은 악한 존재가 아니라 선한 존재이며 누구나 성취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적응할..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