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관계

결혼갈등의 유형

 

①기대 : 결혼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

②역할수행 : 파트너가 기대하는 역할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③외적 스트레스 : 직장스트레스, 질병, 환경 변화, 가족문제

④이질혼 : 배우자와의 유사성 부족

⑤자존감 : 낮은 자존감은 부정적 대처 전략을 초래한다.

⑥집안과 관련된 것 : 친정과 시댁 사이의 갈등

⑦의사소통 : 부적절하거나 거짓된 대화 기술

⑧자녀문제 : 자녀에 대한 시간과 돈의 투자

⑨정신건강 : 배우자에 대한 정신건강의 유무

⑩자기개발의 조화 : 자기개발로 인한 문제해결의 어려움

 

(1) 보편적인 결혼갈등 요인

 

 

(2) 부부사이의 갈등에서 흔히 겪게 되는 갈등양식

 

① 보완적 갈등양식

부인과 남편이 상반되는 방법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즉, 지배적-복종적, 수다스러운-조용한, 능동적-수동적과 같은 것이다.

특히 한쪽 배우자가 꼭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될 일을 다른 한쪽 배우자에게 가르치는 경우 그 배우자는 거의 말을 하지 않거나 아무 말도 없게 되어 점차 반응이 느려지게 된다. 예를 들어 남편은 아내가 밤새도록 집의 외등을 켜 놓았기 때문에 화가 났다. 다음 날 아침 그녀가 무책임했다고 말하면서 호되게 꾸짖을 때 아내는 침묵으로 일관한다. 각 배우자는 상대방이 어떻게 느끼는가와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해서 이야기해야 한다. 각 배우자는 상대방이 어떻게 느끼는가와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해서 이야기해야 한다.

② 균형적 갈등양식

부부가 서로에게 같은 방법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만약 아내가 웃으면 남편도 웃음을 보낸다. 또 한 사람이 공격을 하면 다른 배우자도 그렇게 하는 것이다. 위의 사건에서 아내는 남편도 거기에 있었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 전등이 꺼졌는지 확인하는 책임은 같다고 말하면서 남편에게 심하게 비난을 퍼붓는다. 누가 가사 의무에 대해 책임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각 배우자가 역할분담을 하도록 결정을 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잇을 것이다. 부드러운 논의가 큰소리의 논쟁을 대체해야만 한다.

③ 병행적 갈등양식

부부 모두가 문제가 되는 논쟁을 부인하고, 무시하고, 설명하지 않는다. 이 갈등양식의 주제는 “그것에 대하여 이야기하지 마. 끝날 거야.”이다. 부부간의 차이는 서로가 오해했다고 믿게 되는 관계에서 발전하기 시작한다. 결국은 함께 시간을 보내기보다 각자의 활동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밤새 외등을 끄지 않은 예의 경우, 남편은 그들이 거기 있었다는 사실을 원망하는 것 외에 밤새도록 불이 켜져 있었다는 것에 대하여 아무 말을 하지 않는다. 그럴 경우 그들은 상대방에게 기대하고 있는 행동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는 것이 보다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모든 결혼생활에서 세 가지 유형 모두가 어느 정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갈등이 원만하게 해결되지 못하는 경우 결혼생활 중 일탈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사회적으로 부부갈등에 따른 일탈행동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가족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 성문제 상담법  (0) 2010.11.22
가족의 개념 및 기능  (0) 2010.11.17
부부갈등에 따른 일탈행동  (0) 2010.11.13
가족관계의 접근방향  (0) 2010.11.13
가족스트레스 모델  (0) 2010.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