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

예술심리학<예술가>

서재주인 2010. 11. 2. 04:07

글을쓴다는 것은 치료의 한 형태이다.그래서 나는 종종 의심스럽다. 도대체 글슬쓰는것도 아니고 작곡도 하지않는 데다가, 그림도 그리지 않는 사람들이 어떻게 인간적인 상황속에 근본적으로 내재된 광기, 우울증, 공포에서 벗어날수 있는지.....

 - 그레이엄그린 -

왜 창조적 충동은 결코 충족되지 않는가, 우리는 어째서 항상 새로시작해야만 하는가? 

- 애런커플런드-

이 두작가 모두 40대중반의 극작가이다. 두작가 모두 장남이고, 중류층에서 자라났고 게다가 같은 학교를 다녔다. 많은 면에서 둘은 매우 닮았다. 그러나 그중 한사람은 아주 창의적인 작가여서 그의 작품이 연극의 개념을 바꾸어 놓곤한다. 다른 한 사람은 작품들을 본뜬 것이고, 그래서 한 세대가 지난 후에는 잊혀지고 말것이다.

이 두작가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어떤 심리학자들은 그들의 성격에서해답을 얻으려 할것이다. 

프로이드는 창의적인 작가가 매우 강하고 또 좌절된 본능적 충동을 지니고 있을뿐더러 이 충동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고 되돌릴 수 있는 비범한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할것이다.

행동주의 심리학자들 경우 두작가의 차이는 각기 저마다의 화녕이 그들을 형성하는 방식에 기인한다고 할것이다. 그래서 창의적 작가란 단순히 대중들이 좋아하는 작품스타일을 우연히 발견한 사람이자, 그 때문에 강화된 사람일 따름이다라고 주장할것이다.

또 어떤 사람은 이 두작가의 지적 특성에서 차이를 찾아낼지도 모른다.아니면 창의적인 작가가 더 높은 지능을 가진다고 주장할법도 하다. 그렇지만 여전히 또 어떤 심리학자들은 평범한 작가는 그가 글을 쓸때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능숙한 반면 창의적인 작가는 흥미롭고도 도전할 만한 문제를찾아나서려 하고 또 그러한 문제를 찾아낼수 있다고 말할것이다.

예술가는 규칙적인 일정에 맞춰 성실히 일하는 평범한 작가와 달리 창의적인 작가는 자기도 어쩔수 없는 신비로운 영감의 힘에 사로잡혀 있지 않을까?

이처럼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한다면 창의적인 예술가를 유일무이한 존재로 만드는듯 하다.
어떤 이론가는 예술가의 동기와 성격을 강자호고 어떤이론가는 예술가의 삶에서 작용하는 외적인 요인에 주목하기도 한다. 그리고 또다른 이론가는 여전히 창의적인 마음이 실제로 창작과정에서 작용하는 방식의 특수한 측면을 가정하고 있기도 하다..